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강석한 (건국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언어연구학회 언어학연구 언어학연구 제28권 제1호
발행연도
2023.4
수록면
1 - 25 (25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study aims at examining the role of L1 background language and L2 proficiency level in acquiring the L2 fluency. For the purpose, we investigate acoustical changes of 5 suprasegmental cues by using parameters of the proficiency levels of Japanese and Chinese learners of Korean. Before the experiments, we predict that L2 learners with advanced levels of Korean and L1 background language approximated to the suprasegmental structure of Korean are more likely to acquire L2 Korean fluency. One hundred fifty two subjects with six groups ((Japanese, Mandarin Chinese) * (elementary, intermediate, advanced)) take part in the experiment with native Korean speakers as a control group. The results show that both parameters of the L1 background language and L2 proficiency levels have influence equally on the acquisition of the L2 Korean suprasegmentals. However, the extent is different. For example, the L1 effect decreased over the L2 proficiency levels; the advanced levels of both L1 groups acquired L2 Korean prosody in a similar extent. Also some acoustical cues trigger an uneven influence on Korean natives’ ratings for L2 Korean suprasegmentals; speech rate seems to be the most important cue, whereas the spectrum cues do not.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