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Introduction
2. Methodology
3. Ratings of fluency
4. Production Experiment
5. Relationship between suprasegmental production and fluency test
6. Discussion
7. Conclusion
References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Mixed effects of L1 background languages and L2 experience on the acquisition of the Korean suprasegmentals
언어
2020 .06
Comparative Study of L2 Suprasegmental Development by the Effects of Immersion and L2 Learners’ Groups
언어학
2024 .09
일본어 및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 유창성 초분절 요소 습득 비교 연구
언어학연구
2023 .04
중국어, 영어 및 일본어 원어민 한국어 학습자의 초분절 습득 비교 연구
언어학 연구
2015 .10
The L2 Acquisition of English Focus for Koreans by the Effect of Immersion
언어학 연구
2015 .04
영어 원어민 한국어 학습자의 초분절음 특징 연구
어학연구
2015 .04
Do Korean learners of English speak L2 differently from their L1? : F0 characteristics and intensity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English
음성음운형태론연구
2016 .08
Segmental and suprasegmental effects on Korean listeners’ English stress perception
언어
2019 .12
한국인 학습자의 영어 초분절적 요소 학습의 효과: 음성학적 연구
영어영문학연구
2016 .01
Acoustic Realization of English Word Stress Produced by English and Korean Speakers: Suprasegmental and Segmental Differences
영어학연구
2017 .01
국내·외 영어 온라인 발음 프로그램 분석
영상영어교육(STEM Journal)
2021 .01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등급화된 즉흥 발화 OPic 음성자료의 초분절적 특징 연구
인문언어
2019 .01
Perceptual weighting on English lexical stress by Korean learners of English
말소리와 음성과학
2022 .12
Understanding L2 Speech Production: Implications for Teaching Speaking in EFL Classroom
Journal of Asia TEFL
2020 .01
Differential Contribution of English Suprasegmentals to L2 Foreign-Accentedness and Speech Comprehensibility: Implications for Teaching EFL Pronunciation, Speaking, and Listening
영어학
2021 .01
한국 중학생의 영어 읽기 발화에서 문장유형에 따른 유창성 등급과 초분절 요소의 관계
말소리와 음성과학
2022 .09
Acoustic analysis of English lexical stress produced by Korean, Japanese and Taiwanese-Chinese speakers
말소리와 음성과학
2018 .03
Non-native acquisition of prosody: Learner speech by Korean and English speakers
음성음운형태론연구
2020 .04
Perception of Prosodic Boundaries by Native English Speakers and Korean Learners of English in Public Speech
영어학
2024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