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윤환 (한국해양대학교)
저널정보
동아시아일본학회 일본문화연구 日本文化硏究 第92輯
발행연도
2024.10
수록면
95 - 119 (25page)
DOI
10.18075/jcs..92.202410.095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논문은 근대 한반도에서 최초로 설치되었고 유일하게 존재하였지만, 지금까지 연구가 부족했던 해항도시 부산의 수상경찰서에 관한 연구이다. 특히, 본 논문은 부산수상경찰서의 조직구성, 구성원의 업무, 주요 보직 등을 통해 부산수상경찰서의 조직 구조를 밝혔다. 부산수상경찰서는 1920년 1월에 부산부 본정(本町)에 신설되었다. 이후 1931년 청사가 신축되었고, 1935년에는 부산항 제1잔교 세관 부근으로 이전하였다. 관할 파출소는 제1잔교 수상파출소와 영도 수상파출소가 있었다. 관할구역은 부산부 인근 해안이었고, 업무에 따라 경남과 제주도 해안까지 활동 범위를 넓혔다. 부산수상경찰서는 조선총독부 경상남도 경찰부 소속이었으며, 조직구성은 경시(警視) · 경부(警部) · 경부보(警部補) · 항무관(港務官) · 항무의관(港務醫官) · 항무의관보(港務醫官補) · 항리(港吏) · 기수(技手) · 촉탁(囑託) · 통역생 · 순사(巡査) · 고원(雇員)이었다. 부산수상경찰서의 조직 구성원은 경무계 · 병사계 · 고등경찰계 · 보안계 · 위생계 · 사법계 · 회계계로 업무를 분장하여 경찰과 위생 사무를 담당하였다. 이와 함께 도항 조지계(阻止係)와 선박계 등 수상경찰서의 특징적 부서도 있었다. 부산수상경찰서 역대 서장은 경부 급이었고, 항만과 육상의 검역과 방역, 위생을 관리하는 항무의관은 수상경찰의 특수성을 잘 들어내는 직무였다.

목차

국문초록
서론
제1장 부산수상경찰서의 설치
제2장 부산수상경찰서의 조직 구조
제3장 부산수상경찰서의 주요 직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日本語抄録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151-25-02-0909027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