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박선우 (계명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음운론학회 음성음운형태론연구 음성음운형태론연구 제30집 제3호
발행연도
2024.12
수록면
283 - 307 (25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study analyzes the detailed patterns of place assimilation in Korean using the Seoul Corpus, a spontaneous speech corpus. The results align with previous theoretical studies on the markedness hierarchy of place of articulation. Place assimilation rates vari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target consonant: over 90% of alveolar consonants underwent assimilation within phrases, while only about half of bilabial consonants did so in the same environment. The labialization of velar consonants, which contradicts the markedness hierarchy, occurred in less than 1% of cases in the ‘/ŋ/ + bilabial consonant’ environment, making it a rare phenomenon observed mostly in specific words. Additionally, progressive place assimilation in which a syllable-final bilabial consonant assimilates a syllable-initial alveolar nasal showed a relatively high occurrence rate of 67% in the ‘/p/ + /n/’ environment. However, since all instances of progressive assimilation occurred with the sentence-ending suffixes /-pnita/ and /-pnik’a/, it is more appropriate to interpret this as a morphological phenomenon involving the realization of an unusual allomorph rather than a phonological phenomenon with phonetic motivation.

목차

Abstract
1. 머리말
2. 한국어 위치동화의 비대칭성
3. 서울코퍼스 위치동화 데이터의 추출과 측정
4. 서울코퍼스 위치동화의 분석 결과와 논의
5. 맺음말
REFERENCES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151-25-02-0922586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