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이상훈 (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 윤성권 (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
저널정보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환경법과 정책 환경법과 정책 제15권
발행연도
2015.9
수록면
133 - 166 (34page)

이용수

DBpia Top 10%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최근 2년간 이용수 순으로 정렬했을 때
해당 논문이 위치하는 상위 비율을 의미합니다.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파리 기후변화협약당사국총회(COP21)를 앞두고 각국이 INDC를 유엔기후변화협약 사무국에 제출하면서 세계적으로 기후변화 완화를 위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지구 평균 기온 상승을 2℃ 이내로 억제하기 위한 에너지부문의 탈탄소화 경로를 제시해왔는데 특히 발전부문은 온실가스 감축의 잠재력이 큰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또한 발전부문 탈탄소화에서는 재생에너지 설비의 보급이 가장 효과적인 수단으로 평가되고 있다.
재생에너지 프로젝트는 크게 기술, 금융, 법ㆍ제도, 수용성이라는 네 가지 도전에 직면한다. 기술의 신뢰성이 향상되었고 RPS나 FIT 등 보급제도가 도입되면서 재생에너지 사업의 경제성도 크게 개선되었다. 재생에너지에 대한 사회 전반적 이해와 지지는 강화되고 있지만 재생에너지 시설입지에 대한 주민 수용성은 여전히 쉽지 않은 과제이다. 재생에너지 발전설비, 특히 풍력발전을 둘러싼 갈등과 충돌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유럽연합은 재생에너지 설비에 대한 주민 수용성 제고가 재생에너지 목표 달성을 위한 관건이라고 보고 있다. 재생에너지 보급이 늘어날수록 경제적이며 환경영향이 적은 입지는 희소해지고 재생에너지 설비를 둘러싼 이해관계자 갈등과 대립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재생에너지 주민 수용성을 제고하는 방안의 하나로 분배적 정의가 강조되고, 그 분배적 정의를 개념화한 것이 바로 이익공유체계이다. 그중 가장 효과적이고 직접적인 방식은 주민들이 인근에 들어서는 재생에너지 발전설비의 소유와 운영에 참여하는 주민 발전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분배적 정의 관점에서 풍력발전 설비에 대한 주민 수용성을 제고하는 방안을 문헌조사 및 사례 연구, 관계자 인터뷰를 통해 도출하였다. 결과적으로 국내 여건에서 주민 참여형 풍력사업을 촉진하는 방안을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공공기관이 풍력발전소 조성을 주도하고 주민들은 출자 참여의 기회를 확보하는 방안이다. 둘째, 지역의 조합이 주도하여 풍력발전 사업을 추진하고 지역민으로 구성된 조합원에게 이익을 배분하는 방식이다. 셋째, 크라우드 펀딩을 통해 주민들이 민간의 풍력사업에 출자하는 방식이다. 주민 참여형 풍력사업 모델이 현실화 된다면 재생에너지 발전설비 특히 풍력발전 설비에 대한 지역 주민의 태도에 영향을 줄 것이고 전반적으로 재생에너지 보급에 대한 사회적 수용성을 개선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재생에너지 확대와 주민 수용성
Ⅲ. 우리나라 재생에너지 발전설비 입지와 주민 수용성
Ⅳ. 이익공유를 통한 주민 수용성 개선 사례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39)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6-360-0019477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