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조은경 (경북대학교) 한영균 (연세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사전학회 한국사전학 한국사전학 제27호
발행연도
2016.5
수록면
49 - 74 (26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paper explores some methods and techniques for structuring and acquiring lexical resources from corpus and diachronic knowledge for lexical analyser of historical text. Firstly, we consider the lexicon as a component of lexical analyser and playing a key role in the analyser. Secondly, we see the problem of correcting the annotated historical text corpus. Thirdly, we investigate and design the lexicon with affix features and stem features which are required to analyze words into morphological units. Besides, in this phase we consider Korean diachronic information and corpus quantitative information. Fourthly, we consider the methods for acquiring and estimating variable spellings of a lexical token. Finally, we can look forward to being able to take the lexicon with diachronic information as the resource for secondly created historical digital contents. All in all, this paper shows the methods for acquiring lexicon from data wi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ways and the usage as a digital content with this lexicon.

목차

1. 머리말
2. 연구 자료와 범위
3. 어휘부 개발과 어휘 지식
4. 맺음말 및 향후 연구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28)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7-703-0006799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