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이혜경 (전주대학교)
저널정보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제17집 제1호(통권 제25호)
발행연도
2016.4
수록면
317 - 348 (32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multiple text mentioned in this study means various text documents including literature, non-literature, internet, TV and movi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the writing activity of author who is a learner of writing class easier and more beneficial by utilizing the multiple text. It provides the chance to state the individual opinion based on the analysis of multiple text.
The writing class have to enhance the competency that ‘can write’ rather than ‘writing’ act itself. The ground that writing trained by normal writing study is different with writing utilizing ‘multiple text’ is based on this potential ability. It has the implications that the repeated act to read and write creates the muscle for writing and makes it easy the writing for the future rather than present.
This study conducted to university students that participated to the writing class revealed the possibility to suggest the basic writing guidance with the class model of ‘multiple text’, to develop the basic writing to the academic writing. The multiple text will be the guidance to solve the status of stuffy writing. We look forward to the multiple text utilization to demonstrate the unique tendency and color of each lecturer by researching the teaching method and creating standardized text.

목차

1. 서론
2. 읽기 주체의 회복을 위한 성찰
3. 소통을 위한 비평적 에세이 쓰기
4. 수업에의 적용과 효용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25)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7-001-0007705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