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강진문 (위덕대학교)
저널정보
국제언어문학회 국제언어문학 국제언어문학 제36호
발행연도
2017.4
수록면
285 - 330 (46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연구는 일본 상용한자 2136자를 대상으로 韓國漢字音의 頭子音(初聲)이 日本漢字音에서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14개의 頭子音(初聲)과 日本漢字音과의 대응관계를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게 되었다.
‘ㄱ’은 ‘k’에 대응하는 경우가 약91.0%를 차지하고 있으며. 吳音보다 漢音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ㄴ’은 吳音인 ‘n’에 대응하는 경우가 48.4%, 漢音인 ‘d’에 대응하는 경우가 29%이었다.
‘ㄷ’은 ‘t’에 대응하는 경우가 약67.4%, ‘d’에 대응하는 경우가 18.5%로 나타났는데, ‘t’는 대부분 漢音이고, ‘d’는 거의 吳音이었다.
‘ㄹ’은 모두 ‘r’에 대응하는데, 漢音과 吳音으로 나타나는 비율의 차이는 미미했다.
‘ㅁ’은 ‘m’에 대응하는 경우가 46.7%, ‘b’에 대응하는 경우가 35.2%로 나타났으며 ‘m’은 대부분 吳音이었 고, ‘b’는 모두 漢音이었다.
‘ㅂ’은 ‘h’에 대응하는 경우가 73.5%, ‘b’에 대응하는 경우가 19.9%로 나타났으며, ‘h’는 漢音‧吳音 양쪽으로 나타나는 경우와 漢音으로만 나타나는 경우가 반반이었고, ‘b’는 거의 모두 吳音이었다.
‘ㅅ’은 ‘s’에 대응하는 경우가 75.0%, ‘z’에 대응하는 경우가 19.1%로 나타났으며, ‘s’ 는 漢音이 많았고, ‘z’는 거의 吳音이었다.
‘ㅇ’은 ‘あ’행의 ‘∅(모음)’에 대응하는 경우가 39.4%, ‘y’에 대응하는 경우가 21.9%, ‘g’에 대응하는 경우가 20.1%로 나타났다. ‘∅’과 ‘y’와 ‘g’ 모두 漢音‧吳音 양쪽으로 나타나는 경우와 漢音으로만 나타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ㅈ’은 ‘s’에 대응하는 경우가 50.5%, ‘t’에 대응하는 경우가 25.8%, ‘z’에 대응하는 경우가 12.4%로 나타났는데 ‘s’는 漢音‧吳音 양쪽으로 읽는 경우와 漢音으로만 읽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t’는 漢音으로만 읽는 경우와 漢音‧吳音 양쪽으로 읽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z’는 모두 吳音 또는 慣用音이었다.
‘ㅊ’은 ‘s’에 대응하는 경우가 약64.2%, ‘t’에 대응하는 경우가 약27.7%로 나타났다. ‘s’와 ‘t’ 모두 漢音‧吳音 양쪽으로 읽는 경우와 漢音으로만 읽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ㅋ’은 모두 漢音인 ‘か’행의 ‘k’로 나타났다.
‘ㅌ’은 ‘t’에 대응하는 경우가 약73.3%, ‘d’에 대응하는 경우가 24.4%로 나타났는데, ‘t’는 漢音‧吳音 양쪽으로 읽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d’는 모두 吳音 또는 慣用音이었다.
‘ㅍ’은 ‘h’에 대응하는 경우가 85.7%, ‘b’에 대응하는 경우가 약9.5%로 나타났는데, ‘h’는 漢音으로만 읽는 경우와 漢音‧吳音 양쪽으로 읽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b’는 모두 吳音 또는 慣用音이었다.
‘ㅎ’은 ‘k’에 대응하는 경우가 72.0%, ‘g’에 대응하는 경우가 13.7%, ‘か’ ‘が’행 양쪽에 대응하는 경우가 6.2%로 나타났다. ‘k’는 漢音으로만 읽는 경우와 漢音‧吳音 양쪽으로 읽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g’는 거의 대부분 吳音이었다.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며
2. 頭子音별 대응관계
3. 맺으며
ABSTRACT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