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한국중국언어학회 중국언어연구 중국언어연구 제66호
발행연도
2016.1
수록면
353 - 382 (30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고에서는 문법 교육의 필요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우선 문법에 대한 명칭, 즉 학문문법과 교육문법의 차이를 알아보고, 교육문법의 입장에서 박용진(2015)과 서진현(2015)에서 제시한 내용을 중심으로 초급 단계의 필수문법항목을 127개로 종합하여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초급 단계의 필수문법항목이 2009 개정 교육과정 및 중국어I 교과서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필수문법항목과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기본어휘표를 대조한 결과 ‘如何’와 ‘啦’를 제외한 모든 항목이 교육과정 기본어휘표에 포함되어 있다. 의사소통 기본표현에서는 필수문법항목 중 ‘啊’, ‘呀’, ‘啦’, ‘常常’, ‘出’, ‘次’, ‘对’, ‘后’, ‘老’, ‘拿’, ‘那儿’, ‘如何’, ‘所以’, ‘他们’, ‘条’, ‘些’, ‘学习’, ‘需要’, ‘应该’, ‘又’, ‘这样’, ‘自己’ 등이 사용되지 않았다. 필수문법항목과 5종의 현행 중국어I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필수문법항목 127개 중에서 5종의 교과서 모두에 문법 설명이 제시되어 있는 것은 ‘得’, ‘点’, ‘分’, ‘好’, ‘会’, ‘几’, ‘吗’, ‘没/没有’, ‘是’, ‘我’, ‘你’, ‘他’, ‘她’’, ‘我们’, ‘他们’, ‘你们’, ‘有’, ‘有点儿’ 등이다. 반면 5종 교과서에서 문법 설명뿐만 아니라 교과서 본문에도 전혀 사용되지 않은 필수문법항목은 ‘把’, ‘地’, 접속사 ‘跟’, 전치사 ‘和’, ‘后’, 동작술목동사 ‘叫’, ‘可’, ‘啦’, ‘如何’, ‘向’, ‘呀’, 부사 ‘一’, ‘自己’ 등이다. 교과서 문법 기술을 분석한 결과 향후의 새로 집필될 교과서에서는 기본적인 문법 사항을 좀 더 적극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특히 중국어의 주요 언어 특징이나 중국어의 기본 어순은 교과서에서 전체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본문에서 사용된 단어를 설명할 때에도 의미만을 제시할 것이 아니라 결합 양상 즉, 어떤 종류의 단어와 결합하며 어순은 어떻게 되는지에 대해 설명을 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교과서 본문을 구성할 때 필수문법항목을 반영하여 다양한 내용의 본문을 구성하여야 하겠다. 초급단계의 필수문법항목을 반영할 경우 초급 단계의 수준에 맞추되 이를 활용한 다양한 본문을 구성함으로써 천편일률적인 교과서 내용에서 탈피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