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한국중국언어학회 중국언어연구 중국언어연구 제61호
발행연도
2015.1
수록면
323 - 347 (25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현재 중국어 교육에서 어휘 교육은 대부분이 단어 단위를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한자로 이루어진 중국어 어휘 교육에서 개별 한자의 의미와 전체 단어의 의미적 관련성을 고려한다면 과연 단어 위주의 교육만이 최상의 방법인지, 혹은 보다 효율적으로 중국어 학습자가 어휘를 확장하고 자연스러운 읽기 과정에서 자연습득이 가능한 방법 및 학습책략을 제공해줄 수는 없는지에 대한 고민에서 본 연구는 출발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 중국어 이음절 어휘의 의미투명도 분석과 그 투명도가 한국인 중급 중국어 학습자의 어휘 습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중국어 이음절 어휘의 의미 투명도가 한국인 중국어 학습자의 어휘 습득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지를 실험을 통해서 살펴보고 그 분석 결과에 따른 보다 효율적인 중국어 어휘교육을 위해 제언을 하고자 한다. 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안을 고찰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The Graded Chinese Syllables, Characters and Words for the Application of Teaching Chinese to the Speakers of Other Languages(2010)』의 중급 어휘의 어휘 중 이음절 어휘만을 연구대상으로 한정하였다. 이 중 新HSK (Hanyu Shuiping Kaoshi) 4급 386 단어, 5급 799 단어, 6급 1,213 단어와 대조하여 이 어휘들에 대한 투명도 정도를 분석하여 투명어휘, 반투명어휘, 불투명어휘로 분류하여 연구 자료 및 실험문항으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 분석 결과에 따르면 중국어 어휘 투명도는 한국인 중국어 학습자가 중국어 어휘를 습득하는데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작용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학습자의 학습시간과 선행 학습한 한자 수, HSK 급수 등과 어휘 투명 정도에 따른 습득 정도는 서로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현재 외국인을 위한 중국어 어휘 교육에서는 중국어의 기본 단위를 "사본위(词本位)"("단어"로서 기본단위로 삼는다)로 삼고 있으나, 단어와 관련된 연구에서 형태소 (字)에 더욱 주목하여야 하는 이유를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증명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의미투명도가 한국인 중급 중국어 학습자들의 중국어 어휘 습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향후 단어(词)위주의 어휘교육과 함께 형태소 교육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향후 중국어 어휘 교육에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어휘투명도의 활용은 향후 중국어 어휘 교수 학습의 근간이 되는 외국인을 위한 중국어 어휘 대강에서의 어휘 목록의 재배열, 사전 편찬과 중국어 교재 편찬 및 실제적인 교수 학습에 중요한 자료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2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