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원 법과정책 법과정책 제22권 제2호
발행연도
2016.1
수록면
185 - 222 (38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사람들의 식품안전과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인해 최근 식품산업은 큰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중요한 산업으로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13억의 인구를 자랑하는 중국의 식품시장은 중국 경제성장에 힘입어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국민소득이 높아지고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중국인들의 식품에 대한 선호도는 양에서 질로 변화하고 있으며 품질과 안전을 중시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어떻게 하면 고품질의 안전한 식품을 생산하고 공급하는 가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중국은 이미 식품안전에 관한 법률과 제도를 정비하고 식품안전관리에 관한 행정조직을 개편하였으며, 식품의 품질과 안전성을 보증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보완 또는 개선해야 할 사항들이 존재한다. 더욱이, 최근 중국에서 식품안전사고가 자주 발생됨에 따라 식품안전문제의 심각성이 더해져 중국인들의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권리가 침해 받고 있다. 따라서 중국인들은 자국식품보다 수입식품을 선호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한국 식품도 포함된다. 특히 중국은 우리 식품의 품질과 안전성을 높이 평가하고 있으며 여기에 한류효과 또한 맞물려 있어 한·중 FTA의 타결은 중국 식품시장 진출의 좋은 기회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식품시장이 전 세계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한국정부는 국가적 차원에서 한국 식품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중국 식품 산업의 성장 추세와 함께 한·중 FTA가 한국 경제발전의 새로운 활력소로 기대됨에 따라 우리 식품기업의 중국 식품 시장 진출 기회의 확대와 이에 따른 전략 수립이 시급하다. 그러나 우리 기업의 중국 시장 진출에서 가장 어려운 점을 꼽으라면 중국 법제에 대한 이해부족이라 하겠다. 중국의 식품시장이 떠오르는 블루오션이기는 하지만, 관련 법제가 아직 정비되지 않았고, 또한 수입식품에 대해 다양한 규제제도를 시행하고 있기 때문에, 중국 내 식품 관련 법률 및 관련 규제 제도에 대한 기업들의 이해는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對중 수출을 준비하는 우리 기업에 필요한 정보 및 원활한 중국 시장 진출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43)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