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한국통번역교육학회 통번역교육연구 통번역교육연구 제14권 제1호
발행연도
2016.1
수록면
187 - 203 (17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study analyzes the translation process and the cultural translation. Many researches have studied the culture specific items as a main theme, and Holmes (1994) provided the basic frame of the translation process. However, only a few studies have shown the translation processes incorporating with culture. This study provides the concrete examples of how culture is working on the translation process, and shows the distance between the source text and the target text. The translated text in this paper has a specific purpose targeting the readers from the beginning and the translation process closely reflects the initial purpose. Furthermore, the translation process shows that the logicality of the source text should be modulated by the target culture; in the process of translation, the low context statements in the target text should adopt filler sentences to mitigate the gap of the high context culture. Consequently, this paper shows an example of the translation process and the translator's pivotal role in translating with giving priority to the readability in the target culture.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24)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