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학기제는 2016년도부터 전국 모든 중학교를 대상으로 전면적인 시행에 들어갔다. 실질적으로 자유학기제를 기획 및 운영하고, 교육부가 제시하는 자유학기제 운영체제 중 진로탐색모형에서 중심 역할을 담당하는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인식은 자유학기제도의 안정적인 정착과 운영 내실화에 중요하다는 판단아래 본 연구를 실시했다. 본 연구는 2단계 연구방법을 통해 연구를 수행했다. 첫째, 선행연구 설문도구와 전문가 협의회의 검토를 거쳐 6개 범주, 64개의 문항을 개발했다. 둘째, 6개 범주별 64개 문항을 진로진학상담교사들을 대상으로 폐쇄형 설문을 진행했으며, 전체적인 내용 분석과 학교 급별, 지역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등을 비교 분석했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진학상담교사들은 자유학기제의취지와 목적은 동의했으나, 제도 실시를 위한 인프라 구축 등이 미흡함을 지적했다. 또한 자유학기제 실시시기는 2학년 1학기가 적당하다고 했다. 둘째, 고교와 중학교는 지역별 특화된체험, 인성교육과의 연계, 진로역량 강화, 평가방법의 다양화 필요에서 차이를 보여, 연계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셋째, 도시와 농촌은 지속적 사회지지 필요, 직업체험 인프라의 격차, 지역코디네이터 팀 필요, 교사 학습공동체 구성의 활성화에서 차이를 보여, 도농교류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속가능한 자유학기제도의 안정적인 정착과내실 있는 운영을 위한 정책적 방안 모색에 대해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Freedom semester went into full-scale enforcement targeted at all middle schools across the country since 2016 year. Substantially planning and operational freedom semester, and awareness of career counseling teachers play a central role in the career exploration model of a free semester the operating system that the Ministry of Education presented the following judgment importance of a stable settlement and forward operations substantiality of the freedom semester system this study was conducted. This study was carried out a study with a phase 2 study method. First, through the review of the experts council it has developed six categories of 64 questions. Secondly, a survey of 64 questions was aimed at career counseling teachers by six categories, content analysis and analyzed the whole school class, and whether any differences by region. Specific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areer counseling teacher pointed out this infrastructure, including for the purpose and objective, system implementation, but the free consent of the semester. Free time was also carried semester is the first semester sophomore be appropriate. Second, high schools and junior high schools show the difference in specific regional experience, in conjunction with character education, career competency, diversification of assessment methods need to, we can see the need for linkage programs. Third, urban and rural areas continue to show the difference in social support needs, gaps in infrastructure, work experience, local team coordinators need, enabling learning community composed of teachers, we can see the urban-rural exchange is requi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ble to explore the implications for policy measures to which substantial and stable fixation of the free term sustainable operating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