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요약
1. 서론
2. 아우라의 양가성과 부정의 변증법
3. 아우라의 조락과 영화의 충격 효과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The Aura of Value
한국기초조형학회 작품집
2023 .02
발터 벤야민의 아우라 개념에서 본 스포츠
움직임의 철학: 한국체육철학회지
2025 .03
예술작품의 아우라에 대한 동시대적 고찰 - 원본성과 유일성을 중심으로 -
기초조형학연구
2024 .04
디지털 미디어(Digital Media) 시대 춤의 아우라(Aura)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의 매체미학을 기반으로
무용예술학연구
2017 .01
Aura of Divine Bear
한국기초조형학회 작품집
2023 .01
프랭크 무리스의 콜라주 애니메이션 <프랭크 필름>(1973)에 나타난 내적 표현 : 발터 벤야민의 변증법적 이미지를 중심으로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2015 .03
한국사진학회지 분류 및 분석에 관한 연구 - 1994년부터 2016년 까지 -
AURA
2017 .08
Aura of Divine Tiger
한국기초조형학회 작품집
2023 .02
Aura Colours
AIC 2017 Jeju
2017 .10
발터 벤야민의 변증법적 이미지 전략과 예술적 각성에 대하여 - 카지미르 말레비치와 존 고토의 예술작품을 중심으로 -
예술과 미디어
2019 .01
한국영화와 근대성의 번역
한국예술연구
2017 .03
Aura of Vitruvius
한국기초조형학회 작품집
2023 .07
AI 예술의 예술적 가치 연구 : 보리스 엘닥슨의 AI 생성 작품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2023 .10
공간의 변증법적 관점에서 바라본 문화적 도시재생 사례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022 .04
한국영화 7선: 2014년 한국영화를 말하다
현대영화연구
2015 .01
신화적 원형이 내포된 브랜드 내러티브와 아우라 간의 구조 관계 분석 - W. Benjamin의 이론을 중심으로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2020 .01
<영화의 역사(들)>(고다르)의 벤야민적 역사인식과 역사서술 방식 : 역사와 몽타주, 역사의 몽타주 원칙
영상문화콘텐츠연구
2019 .02
On Aura Tout Vu의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특성 : 2002 F/W~2015 S/S 컬렉션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017 .03
뉴미디어 무용예술에서 이미지 권력: 블록체인과 NFT기술을 중심으로
한국무용연구
2021 .09
디지털 이미지 시대의 푼크툼(Punctum) 표현방법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017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