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1. 들어가며: 트라우마 사회로서의 한국
2. 〈지슬〉과 〈비념〉: 숭고, 혹은 회피의 미학
3. ‘부정적 승화’를 넘어 망각의 코뮤니타스로
4. 나가며: 애도, 혹은 두 번의 부정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트라우마 치유환경 디자인 원칙 및 기법 연구 - 세월호 참사 경험자를 대상으로 -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2024 .12
1980년대 이후, 한국 ‘분단영화’에 재현된 ‘역사적 트라우마’에 관한 연구
영화연구
2015 .03
현대미술에 나타난 5.18 광주민주화운동과 트라우마의 치유
한국예술연구
2017 .12
트라우마 치유공간에 관한 연구 : 역사적 트라우마 치유공간의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6 .05
사회적 트라우마 치유를 위한 메모리얼 공간기능에 대한 고찰 - 주디스 허만(JUDITH HERMAN)의 트라우마 치유회복단계 적용 -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2019 .01
이미지와 치유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2015 .03
Last Prayer
Moving Image & Technology (MINT)
2022 .02
Prayer
한국디자인학회 국제초대전도록
2018 .06
“The Safety of South Korea has Fallen”: A New National Trauma of Collapsed Community Ethics in Korean Disaster Films
영화연구
2020 .06
영화에서 플래시백을 통한 여성의 트라우마 재현
현대영화연구
2017 .01
동시대 트라우마 미술에서 징후로서 지표
현대미술학 논문집
2022 .06
증언, 트라우마, 서사– 한일 ‘위안부’ 합의 이후의 일본군 ‘위안부’ 영화
아시아영화연구
2019 .01
아르메니아 제노사이드 영화의 벡터와 지형도 연구 -기억의 정치학과 트라우마 치유의 미학성을 중심으로-
현대영화연구
2019 .01
치유를 목적으로 하는 디지털 패션 제품의 특성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2019 .01
고유한 신체의 경험을 통한 애도 공간 특성 연구 -메를로 퐁티의 현상학을 중심으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020 .01
참여적 치유 관점으로 본 현대 패션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2019 .01
치유환경디자인 연구 경향 -국내 선행 연구 분석을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2021 .08
트라우마 치유를 위한 공연중심 연극치료의 효과 -30대 여성 사례를 중심으로-
연극예술치료연구
2024 .06
치유 환경으로 활용되는 정원디자인 분석 및 제안 -S대학교를 대상으로-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2024 .08
From Jeju culture...202311
한국기초조형학회 작품집
2023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