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요약문〉
Ⅰ. 서론
Ⅱ. 공부선의 시행배경과 방법
Ⅲ. 공민왕의 나옹선택과 공부선의 主盟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懶翁三關의 禪思想 고찰
동양철학연구
2015 .01
조선시대 공민왕 인식의 변화 과정
역사와현실
2018 .09
나옹과 오대산 북대
불교학연구
2020 .01
나옹혜근의 조선불교계 위상과 법맥
종교교육학연구
2020 .01
조선시대의 법맥 인식과 나옹 법통의 역사성
한국사상사학
2024 .08
나옹의 탄생과 장육사의 역사
禪學(선학)
2022 .04
어떤 옹이 외 1편
시조시학
2015 .12
13-14세기 쌍성총관부의 성격과 그 위상
숭실사학
2023 .06
[特別論壇] 壇關於崔致遠的奉使入唐問題
신라사학보
2015 .08
나옹의 귀국 후 주요 행적과 다비 및 추념 - 국립중앙도서관본에 추가된 행적을 중심으로 -
한국불교학
2020 .01
고려말 幻庵混修의 활동과 그 의미
禪學(선학)
2016 .04
명말 청초 경계인 李漁의 초상 ― 『笠翁詩集』을 통하여
중국어문학논집
2023 .02
분황 원효와 나옹 혜근의 서민교화
불교철학
2023 .04
공민왕의 죽음과 국내외정세
한국사학보
2017 .05
야딩의 새옹지마(塞翁之馬)
월간에세이
2023 .03
삼별초의 항파두리 토성 입거와 전략적 활용
역사민속학
2015 .03
윤택의 생애와 금산
역사와 담론
2019 .04
나옹혜근(懶翁惠勤) 선사상의 특징과 선심의 시적 형상화 연구
퇴계학논집
2020 .01
指空의 Nālandā 진술에 대한 타당성과 문제점
사학연구
2015 .03
중학교 역사 수업에서 ‘정동행성’은 왜 학습되고 있을까? - 2015 개정 교육과정 역사 교과 ‘학습 요소’ 설정의 맥락 -
역사교육
2022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