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李燦揆 (중앙대학교) 南芝鉉 (중앙대학교)
저널정보
국어국문학회 국어국문학 국어국문학 제171호
발행연도
2015.6
수록면
179 - 206 (28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을 측정하고자 할 때, 학습자가 산출한 發話의 유창성에 대한 판단의 근거와 기준을 모국어 화자의 경험과 직관에만 의존할 것이 아니라, 한국어 학습자가 실제 생산한 말하기 표본 자료를 바탕으로 객관화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 채점자의 주관성을 최대한 배제할 수 있도록 평가자 훈련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일련의 과정들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口語 流暢性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개념을 분명히 定義하고, 발화 자료를 대상으로 구성 요인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과학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유창성은 정확성을 기반으로 발달된 능력에는 틀림없지만 정확성과는 분리하여 話者의 認知的 能力이 반영된 자연스러운 발화 능력으로 객관적으로 측정가능하면서 聽者가 쉽게 인식할 수 있는 화자의 발화 능력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측정가능한 발화 유창성을 통해 화자의 인지 유창성을 확인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그동안의 한국어 교육의 유창성 연구를 보면 우선 한국어 발화 속도나 休止 등과 유창성의 관련성을 확인하려는 연구가 있는 반면에 평가자의 인식을 통해 유창성의 구성 요인을 찾으려는 연구도 볼 수 있다. 한국어 학습자나 모국어 화자의 발화와 시간 변인의 관련성을 종합해보면 발화 속도 단독으로 유창성의 指標가 되기보다는 망설임이나 묵음 休止와 결합하여 聽者의 인상에 유창한 발화로 규정지어질 수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1. 緖論
2. 流暢性의 槪念
3. 流暢性의 構成 要因
4. 結論
참고문헌

참고문헌 (56)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6-810-001707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