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들어가기
Ⅱ. 주어의 개념 및 주술구조에 대한 비판
Ⅲ. 중국어 주술술어문에 대한 새로운 이해
Ⅳ. 나가기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현대 중국어의 주술술어문 연구
중국어문학논집
2021 .02
주술주어문인가, 주술술어문인가?
중국어문논역총간
2023 .01
한국어 이중주어 구문과 중국어 주술술어문의 단일 주어 고찰
인문과학연구
2021 .03
“無法”詞性新探
중국어교육과연구
2021 .07
국어 문법의 서술절 설정에 대한 비판
국어교육연구
2017 .10
중국어 ‘V1的V1, V2的V2’의 의미와 화용 연구
한중언어문화연구
2020 .01
Mapping Algorithm of Semantic Interpretation in Korean Multiple Nominative Constructions
언어학연구
2019 .01
고대 중국어의 초점 유형 및 초점 표현 방식
중국어문학
2022 .04
힘역학과 중국어 주어지향성 이차서술어구 연구
중국어문학논집
2024 .06
한중 주어와 화제에 대한 재분석
중국학
2022 .09
동사 서술어 앞에 위치한 동사성 어구의 성격에 관한 문제
동양한문학연구
2017 .02
「と思う」の用法に?する記述的?究 -動詞述語文を中心に-
일어일문학연구
2016 .11
중급 한국어 학습자의 보조용언 사용 연구
언어와 문화
2020 .01
{이} 중출 구문의 주제어와 복합서술어
언어와 정보사회
2020 .01
한중 대비를 통해 본 ‘NP1+NP2+V’구조의 주어 설정 문제
이중언어학
2022 .09
중국어 2음절 신체 복합어의 품사 표기 문제—동사와 형용사를 중심으로 실현 양상
현대문법연구
2023 .03
人を主語にとる名詞述語文のテンス体系
일본연구
2018 .02
한국인의 중국어 작문 텍스트 속 주어 출몰 현상에 대한 응집성(cohesion) 및 응결성(coherence)의 적용 방안 고찰
중국문화연구
2018 .08
Predicate topicalization in Korean: A construction-based HPSG Approach
언어
2019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