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토의
Ⅵ. 결론
인용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L2 언어 인지·발화 과정에서의 말하기 조정에 대한 성별의 영향
언어과학
2021 .11
영어 모음 발화에서 한국인과 원어민의 영어 말하기 비교: 말하기 조정과 성별의 영향
Studies in English Education
2024 .06
전제 수용 현상과 맥락의 개정
언어와 정보
2020 .07
한국인 영어 학습자와 영어 원어민의 말하기 조정: 문장 단위 발화에 대한 성별의 영향
영어교육연구
2024 .09
A Longitudinal Study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Production Link in Second Language Speech
담화·인지언어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22 .11
비원어민 한국어 말하기 숙련도 평가와 평가항목의 상관관계
말소리와 음성과학
2017 .09
Evaluation of English speaking proficiency under fixed speech rate: Focusing on utterances produced by Korean child learners of English
말소리와 음성과학
2023 .03
반복 발화의 음성 축약 현상에 미치는 영어 능숙도의 효과
언어학
2015 .01
다른 발화 속도의 또렷한 음성과 대화체로 발화한 영어문장 인지
말소리와 음성과학
2018 .06
Effects of L2 Proficiency and Interlanguage Benefit on Speech-in-noise Recognition
영어학연구
2017 .01
발화 조절에 따른 한국어 모음의 음성적 특징과 오류 양상 분석
이중언어학
2018 .01
한국인 표준 음성 DB 구축
말소리와 음성과학
2015 .03
好意伝達表現の男女差に関する考察 -告白場面に見られる発話機能を中心に-
일본문화학보
2020 .08
Bringing AI into the Classroom: The Impacts of Gender and Major on English Proficiency
Foreign Languages Education
2022 .06
한국인 영어 학습자와 영어 원어민의 단어와 문장 단위에서의 말하기 조정 비교
새한영어영문학
2024 .11
Speech in Cognition and Second Language Acquisition
신영어영문학
2018 .02
Native listeners' perceptual assessments of native and foreign-accented speech and their associations with various speech properties
언어연구
2024 .03
한국어 교원의 발화 조절에 대한 음성학적 연구
어학연구
2019 .04
English Language Proficiency in Indonesia: Issues and Prospects
Journal of Asia TEFL
2018 .01
Korean Nasalization as L1 Interference on English Production by Korean EFL Learners
현대문법연구
2022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