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윤미선 (동국대학교)
저널정보
한국번역학회 번역학연구 번역학연구 제23권 제2호
발행연도
2022.6
수록면
127 - 155 (29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Audio Subtitling (AST) is a spoken or aural rendering of subtitles. When combined with Audio Description (AD), AST is aimed at blind and partially sighted audiences. Based on the types of multimodal cohesion suggested by Reviers and Remael (2015),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multimodal cohesion formed between AST and AD in Okja (2017), Minari (2020) and Space Sweepers (2021). Generally speaking, referents are cataphorically identified by the AD, as the visual-verbal links in subtitled films are usually anaphoric. However, other types of multimodal cohesion are identified. The results show five different types of multimodal cohesion: cataphoric reference, anaphoric reference, linguistic cohesion, substitution and complementarity.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evaluate the extent of multimodal cohesion created between AST and AD in an audio described version.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분석
3. 분석 텍스트
4. 분석 결과
5.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