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서론
2. 의미기능과 문법적 특징
3. 제시 현황
4. 교육 내용 선정과 배열 방안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유사 기능의 한국어 문법 교육 내용 연구 : ‘-아/어서, -(으)니까, -기 때문에’를 중심으로
어문론집
2015 .03
한국어 교육 문법의 체계와 내용 범주
우리말연구
2010 .01
한국어 교육 유사 문법 개념 연구 : 음운·형태·통사·의미·화용적 관계를 중심으로
어문론집
2018 .12
‘-기’ 포함 한국어 문법 항목 구성 방안
어문론집
2014 .09
현대국어 연결어미 {-니까}의 문법적 특성과 형성과정
언어과학연구
2006 .09
한국어 교육 문법 항목 연구
한국언어학회 학술대회지
2017 .06
국어 문법교육의 비판적 검토
한국사상과 문화
2012 .01
문법 연구와 문법 교육의 상관관계 : 문법 교육의 내용 선정 원리와 관련하여
한국어학
2006 .11
한국어교사를 위한 문법 교육 내용 기술의 원칙
어문론집
2014 .09
한국어교육과 표준 문법
한국어학
2020 .02
종결어미 ‘-(으)실게요’의 기능과 문법화
담화·인지언어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6 .11
문법 교육론
한글
1970 .09
한국어 문법 교육의 실태와 효율적인 교육 방안 연구
교육한글
2004 .04
한국어 교육 문법 항목 ‘-고’와 ‘-아/어서’의 교육 내용 연구
어문론집
2016 .09
`교육 문법`에 있어서 한국어 구어 문법을 어떻게 기술할 것인가에 대하여
한국어학
2009 .1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교육 : 문법 교육의 위치·교육 원리에 관하여
한국어학
1997 .08
한국어 인과관계 연결어미 ‘-아서’, ‘-니까’의 전제의미 실효성 확인 및 교실 적용방안
담화와인지
2019 .08
한국어 교육을 위한 문법 체계에 대하여
한국어학
2008 .11
한국어 <문법> 학습자의 문법 용어 인식 양상 연구
언어과학연구
2009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