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지연 (제주대학교)
저널정보
미래영어영문학회 영어영문학 영어영문학 제24권 제3호
발행연도
2019.8
수록면
273 - 301 (29page)
DOI
10.46449/MJELL.2019.08.24.3.273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study aims to examine 94 Korean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their teachers’ feedback on their English writing based on the questionnaire and interview data.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teachers’ feedback practices and the students’ views of them by English proficiency level. One teacher focused on correcting grammatical errors, while the other emphasized feedback to both form and content. Low proficient(LP) students thought the teacher focused on surface-level error correction. High proficient(HP) students felt the teacher gave more feedback on the content of their first draft, and on the form of their final version. Seventy-six percent of LP students indicated that the teacher corrected errors, but 63% of HP students stated that the teacher just marked them. Two-thirds of HP students thought their teacher feedback was useful to develop the content and organization of their writing. More than three fifths of students believed their feedback was helpful in improving writing accurac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29)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9-740-0009860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