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강유진 (중앙대학교)
저널정보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교양학연구 교양학연구 제12집
발행연도
2020.7
수록면
7 - 23 (17page)
DOI
10.24173/jge.2020.07.12.1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writing process’ is mostly included in the university"s writing subjects, but the writing process from ‘writing ideas’ to ‘rewriting’ usually consists of explanations and example sentences. If the ‘writing process’, which corresponds to the beginning of a writing class, is linked to actual practic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feeling of rejection of writing classes and attract learners to writing by type.
This article proposes a specific practice plan for the ‘writing process’ to propose a writing class model in which ‘empathy and communication’ with learners takes place. This model is a practice in the ‘imagination of writing’ phase that corresponds to the introduction of a full-scale writing lecture, and the goal is to induce learners to participate in hands-on practice throughout the entire writing process so that students can learn the theory and practice of writing in an integrated manner.

목차

1. ‘공감과 소통’으로서의 글쓰기
2. 전체 강의 계획과 각 과정의 주요 활동
3. ‘글쓰기 구상’의 설계 모형
4.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7)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