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 요약〉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분석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중⋅한 공문 텍스트의 응결성과 응집성 대조 연구
한국중어중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20 .11
텍스트의 응집성(coherence) 형성 요소와 양상에 대한 연구
독서연구
2020 .01
중국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어휘적 응결 장치 인식 양상 연구
독서연구
2024 .05
논증적 글쓰기 평가의 텍스트 영역 고찰 - 통일성을 중심으로
작문연구
2024 .09
상관계수를 활용한 텍스트 응집성 산출 방안 연구
작문연구
2020 .01
한국어 쓰기 지도를 위한 학습자 텍스트 분석 - 중국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
언어와 정보사회
2016 .07
한국어 L1 화자와 L2 화자의 서사 텍스트에 나타난 응결성 비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2021 .08
한국어 학습자의 구어 텍스트에 사용된 접속의 응결 장치 연구 : 중국인 중·고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담화·인지언어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7 .11
공지시와 연관 어휘에 의한 텍스트 응집성 분석
언어와 정보사회
2017 .07
국어 텍스트의 어휘적 응결성과 어휘의미망 – 체계기능언어학(SFL)의 관점 –
동양학
2022 .01
글 이해 과정에서 작동하는 독자의 응집성 기준에 관한 개념적 고찰
독서연구
2024 .08
Assessing Second Language Spoken Coherence
응용언어학
2024 .09
한국어 학습자 텍스트의 내용적 오류 양상 - 응집성(coherence)을 중심으로 -
작문연구
2023 .06
2015 개정 교육과정과 언어와 매체의 담화 교육 내용 비교 분석
한말연구
2021 .09
Group-level Diversity and Performance: An Exploration of Mediators
유라시아연구
2018 .01
A Case Study of Coherence Structures in L1 Korean L2 English Learner Writing
담화·인지언어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5 .10
A Study on the Optimal Structure of Coherence in Argumentative Texts : With a Special Focus on Linking Adverbials
담화와인지
2016 .02
학문 목적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발표 담화에 나타난 응결 장치 실현 양상 연구
이중언어학
2018 .01
한국인의 중국어 작문 텍스트 속 주어 출몰 현상에 대한 응집성(cohesion) 및 응결성(coherence)의 적용 방안 고찰
중국문화연구
2018 .08
韓国人上級日本語学習者の作文における結束性の考察
日本語敎育
2018 .01
0